본문 바로가기

대학교 정보

[케임브리지 대학교] 케임브리지 대학교 입학 가이드와 학교 소개

반응형

1209년에 설립된 케임브리지대학교는 800년이 넘는 역사를 지닌 세계에서 세 번째로 오래된 대학이며, 꾸준히 세계 대학 순위 최상위를 차지하는 영국 최고 명문입니다. 영국 잉글랜드의 케임브리지시에 위치하여, 런던에서 북쪽으로 약 80km 떨어진 작은 대학 도시 전체가 캠퍼스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오랜 역사만큼이나 깊은 전통과 학문적 성취를 자랑하며, 이삭 뉴턴 경, 찰스 다윈, 스티븐 호킹과 같은 과학자부터 배우 엠마 톰슨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저명한 인물을 배출하였습니다. 또한 케임브리지 대학 출신으로 노벨상 수상자가 120여 명에 달할 정도로 세계적인 연구 업적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캠브리지대학교 로고 (출처: Wikimedia Commons)
캠브리지대학교 로고 (출처: Wikimedia Commons)

케임브리지 대학교 캠퍼스 구조 및 칼리지 시스템 소개

케임브리지대학교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는 칼리지(college) 시스템입니다. 대학 자체는 여러 학부와 학과로 구성된 연합체이지만, 학생들은 31개의 자치 칼리지 중 하나에 소속되어 생활합니다. 각 칼리지는 독자적인 규정과 전통을 가지고 있으며, 학생 선발부터 기숙사 제공, 식사 및 복지까지 담당하는 작은 공동체 역할을 합니다. 대학 도시는 거대한 단일 캠퍼스라기보다 칼리지들과 대학 건물들이 도시 곳곳에 분산된 형태로, 아름다운 고딕 건축의 칼리지 건물들이 캠 강 주변에 자리잡고 있습니다.

 

칼리지 시스템 덕분에 소규모 튜토리얼 교육(Supervision)이 이루어지는 것이 케임브리지 교육의 핵심입니다. 학부생들은 주 1~2회 소속 칼리지의 교수나 연구원과 일대일 또는 소그룹 지도를 받으며 과제를 논의하고 피드백을 받습니다. 이러한 수퍼비전 수업은 세계 최고 수준의 교육 모델로 평가받고 있으며, 학생들이 비판적 사고와 심층 학습 능력을 키우는 데 큰 역할을 합니다. 칼리지들은 학생들의 생활 공간이기도 해서, 식사를 함께하는 식당과 전통적인 드레스 코드를 갖춘 포멀 디너, 동아리 활동과 스포츠 경기 등이 모두 칼리지 단위로 이루어집니다. 이처럼 칼리지 시스템은 소속감과 친밀한 교육 환경을 제공하여, 대형 대학이면서도 학생 한 명 한 명에게 밀착된 지원과 지도를 가능하게 합니다.


케임브리지 대학교 학부 입학 조건

케임브리지 학부 입학은 탁월한 학업 성적과 준비도를 요구하며, 한국 국적 학생의 경우에도 예외가 아닙니다. 일반적인 한국 고등학교 졸업장만으로는 지원자격을 충족하기 어려우며, 국제 표준화된 교육 과정 또는 추가 학업 이력이 요구됩니다. 예를 들어 A레벨 또는 IB 과정을 이수했거나, 미국 AP 과목 5개 이상에서 만점(5점)을 받고 한국 학교 내신에서 수 90% 이상을 받은 경우 등이 고려 대상이 됩니다. 실제로 케임브리지는 일반계 고등학교 졸업만으로 지원하는 학생은 경쟁력이 낮다고 명시하며, A레벨, IB, AP 등을 통한 추가 학업 성취를 strongly 권장하고 있습니다.

 

학업 성적 요구치도 매우 높습니다. A레벨의 경우 보통 AAA 내지 AA*A 이상의 predicted grades가 요구되며 (지원 전공과 칼리지에 따라 다름), IB 디플로마는 총점 40~42점 이상(45점 만점)에 고급과목(HL)에서 7,7,6 이상의 성적을 요구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만약 미국식 교육과정을 밟았다면 SAT와 AP 조합으로 지원할 수 있는데, 이 경우 SAT 총점 최소 1,460~1,500점 (인문사회계열 1,460점 이상, 이공계열 1,500점 이상) 정도의 높은 표준화시험 점수를 요구합니다. 또한 여기에 더해 AP 시험 5과목에서 5점 만점을 취득하고, GPA도 최상위권이어야 합니다. 즉, 학업적으로 최상위 12% 안에 드는 성취를 보여주어야 케임브리지 합격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성적 요건 이외에도 영어 능력을 증명해야 합니다. 한국을 포함한 비영어권 학생은 IELTS Academic에서 평균 7.5 이상 (각 밴드 7.0 이상) 또는 TOEFL iBT에서 110점 이상 (각 영역 25점 이상) 등의 공인 영어시험 성적을 요구받습니다. 영어 능력은 지원 과정의 학과 인터뷰를 원활히 수행할 수 있을 정도의 수준을 의미하며, 만약 지원 과정 중 영어 실력에 우려가 제기되면 조건부 합격 시 추가 영어 점수를 제출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지원 프로세스는 영국 대학 공통 지원 시스템인 UCAS를 통해 진행됩니다. 한국 학생이라도 UCAS 지원서, 영문 자기소개서, 학교 선생님의 추천서 등을 모두 영어로 제출해야 합니다. 케임브리지/옥스퍼드 대학은 다른 대학보다 이른 매년 10월 15일이 지원 마감이므로 일정을 유의해야 합니다. 지원서를 통과하면 11~12월경에 전공 교수진과 화상 또는 대면 인터뷰를 보게 되며, 인터뷰에서는 학생의 학업적 열정과 사고력을 평가합니다. 또한 과별로 입학시험이 있는데, 예를 들어 자연과학, 공학 지원자는 ESAT (Engineering and Science Admissions Test), 경제학과 컴퓨터과학은 TMUA (수학적 사고 시험), 의학은 UCAT, 법학은 LNAT 등을 치러야 합니다. (케임브리지는 2024년부터 Imperial College와 함께 새로운 시험인 ESAT와 TMUA를 도입하고, 의학은 BMAT대신 UCAT을 사용하기 시작했습니다.) 전공별 시험과 인터뷰 준비에 충분한 시간을 투자해야 하며, 자기소개서에는 해당 전공에 대한 본인의 심화 활동(독서, 올림피아드, 연구 경험 등)을 녹여내는 것이 중요합니다. 즉, 케임브리지 입학을 위해서는 최고 수준의 학업 성적, 탄탄한 영어 실력, 전공에 대한 열정과 준비도를 모두 갖추어야 합니다.


케임브리지대학교 대표 건물 Senate House 전경
케임브리지대학교 대표 건물 Senate House 전경

케임브리지대학교 인기 학과 및 커리큘럼

케임브리지대학교는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세계적인 평판을 얻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특히 자연과학, 공학, 경제학, 법학 등의 학과가 한국 학생들에게 인기가 높습니다. 각 전공마다 특색 있는 커리큘럼과 풍부한 학습 자원을 갖추고 있어, 학생들은 깊이있는 전공지식과 함께 폭넓은 학문적 시야를 기를 수 있습니다. 

 

자연과학부 (Natural Sciences): 케임브리지의 자연과학부는 단일 학과라기보다 자연과학 전반을 아우르는 통합 코스로서, 물리∙화학부터 생물∙지구과학까지 14개 학과의 과목들을 한데 모은 Natural Sciences Tripos 과정을 제공합니다. 1학년과 2학년 동안 학생들은 물리학, 화학, 생물학 등 여러 과목을 폭넓게 수강하며 기초 과학 지식을 쌓습니다. 처음 접해보는 새로운 분야도 선택할 수 있어, 예를 들어 1학년 때 물리학과 생물학을 모두 공부한 뒤 흥미에 따라 전공을 바꿀 수도 있습니다. 2학년 말부터 관심 분야를 전문적으로 심화하게 되며, 3학년(학사 최종년) 또는 선택적인 4학년(MSci 과정)에는 물리, 화학, 동물학, 지질학 등 하나 또는 두 개 분야를 특화하여 연구 프로젝트와 고급 세미나에 참여합니다.

이처럼 폭넓은 1,2학년 + 전문화된 상급과정 구조는 학생들에게 학제적 시야를 키워주며, 본인이 진정으로 열정을 느끼는 과학 분야를 발견하도록 돕습니다. 케임브리지 자연과학부는 세계 대학 랭킹에서 항상 최상위를 차지할 만큼 평판이 높고, 캐번디시 연구소를 비롯한 첨단 연구시설과 노벨상 수상 교수를 포함한 뛰어난 교수진이 학생들의 학업을 지도합니다.

 

공학부 (Engineering): 케임브리지 공학부는 종합 공학 교육으로 유명합니다. 1, 2학년 동안은 기계, 전기, 토목 등 공학 전분야의 기초 과목을 폭넓게 배우며, 공학도의 기본 소양과 문제해결 능력을 다집니다. 이 과정을 통해 학생들은 자신에게 맞는 세부 전공 분야를 탐색하고 3학년 진입 시 전공 분야를 선택하게 됩니다. 3, 4학년에는 선택한 분야(예: 구조공학, 전기전자공학, 정보공학 등)에 집중하여 심화 과목과 설계 프로젝트를 수행합니다. 케임브리지의 공학 학사는 3년 후 BA 학위를 받고, 대부분 학생이 4년차까지 이어서 공부하여 Master of Engineering (MEng) 학위까지 취득하는 4년제 과정입니다. 커리큘럼은 이론과 실습을 균형있게 배치하고 있으며, 팀 단위의 설계 프로젝트와 산업체 인턴십 기회도 제공되어 실무 감각을 키울 수 있습니다. 세계 유수의 케임브리지 공대답게 각 분야에서 최첨단 연구가 진행되고, 학생들은 엔지니어링 부문 세계 1~2위권 대학의 명성을 체감하며 공부합니다. 졸업생들은 세계적인 엔지니어, 기업가로 활약해왔고, 케임브리지 공학부 교수진 역시 업계와 학계에서 높은 권위를 지닌 분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경제학부 (Economics): 케임브리지 경제학부는 전통적으로 이론경제학의 강세를 보이는 학과로, 명망 높은 경제학자들을 다수 배출한 것으로 유명합니다. 학부 커리큘럼은 미시경제학, 거시경제학, 수리경제 및 계량경제학의 탄탄한 이론 교육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학년에는 경제학 원론과 정치∙사회과학 개론, 수학 및 통계 기초를 배우며 경제학의 기초를 다집니다. 2학년부터는 미시/거시경제학의 중급 이론과 경제사, 계량경제 등을 심화학습하고, 3학년에는 노동경제, 개발경제, 금융경제 등 다양한 분야의 선택과목과 함께 논문 작성 기회를 가집니다. 케임브리지 경제학부는 수리적 분석을 특히 중시하여 지원 시 수학 과목 성적을 매우 중요하게 평가하며, 경제이론 모델링과 데이터 분석 역량을 갖춘 경제 인재를 양성합니다. 역사적으로 존 메이너드 케인스를 비롯한 저명한 경제학자가 교수와 학생으로 몸담았고, 현대에도 세계은행, IMF 등 국제기구와 금융권으로 진출하는 졸업생이 많습니다. 학업 분위기는 매우 경쟁적이지만 교수진의 세밀한 지도가 뒤따르며, 각종 경제연구센터를 통한 연구 참여 기회도 주어져 학부생들도 최신 경제 이슈 연구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법학부 (Law): 케임브리지의 학부 법학 과정은 3년 동안 진행되며 영국 LL.B.에 해당하는 학사 법학 학위(Cambridge BA in Law)를 수여합니다. 커리큘럼은 영국의 영미법(common law) 체계를 깊이 있게 학습하는 데 중점을 두며, 법철학적 기초부터 실정법까지 균형 잡힌 법률 교육을 제공합니다. 1학년에는 헌법, 형법, 민법법리법 등 법학의 핵심 과목들을 배우고, 법의 기본 원리와 판례 해석 능력을 기릅니다. 2학년에는 계약법, 형사법, 토지법 등의 과목과 함께 EU법 등 국제법 관련 과목을 접할 수 있고, 3학년에는 회사법, 지적재산권법, 국제법 등 다양한 선택과목을 통해 관심 분야를 심화합니다. 교육 방식은 대규모 강의와 함께 칼리지별 소그룹 토론으로 판례 분석과 에세이 피드백이 이루어져, 학생들은 논리적 법률 사고와 주장 전개 능력을 연마하게 됩니다. 케임브리지 법대는 영국 내에서도 가장 역사 깊은 법학교육을 제공해왔으며, 대법원 판사, 국제형사재판소 재판관 등 저명한 법조인들을 다수 배출했습니다. 지원 단계에서 LNAT 시험 성적과 인터뷰를 통해 법학 적성을 심사하며, 졸업생들은 영국 및 글로벌 로펌, 사법연수과정 혹은 대학원 연구 등 다양한 진로로 나아갑니다. 케임브리지 법학부의 교수진은 각 분야 최고 권위자들로 이루어져 있어, 학부 과정부터 최신 법률 이슈와 학설을 접하고 비판적으로 토론하는 훈련을 받게 됩니다.

케임브리지 King's College
케임브리지 King's College


케임브리지대학교 교수진 수준과 연구 역량

케임브리지대학교의 교수진과 연구 환경은 전 세계 최고 수준으로 평가받습니다. 대학에는 각 분야에서 선도적인 연구를 수행하는 석학 교수진이 포진해 있으며, 학생들은 이들로부터 직접 강의와 지도를 받습니다. 케임브리지는 지금까지 노벨상 수상에 빛나는 인재만 100여 명 이상 배출하였고, 현재도 수많은 교수가 왕립학회(FRS) 회원이나 해당 분야 최고 전문가로 활동 중입니다. 특히 과학 분야에서는 노벨상의 산실이라 불릴 정도로 연구 업적이 뛰어나, 예를 들어 DNA 이중나선 구조 발견(왓슨·크릭 연구진, 1953)이나 양자역학의 발전(폴 디랙 등)과 같은 역사적인 발견들이 케임브리지에서 이루어졌습니다. 인문사회 분야에서도 경제학의 케임브리지 학파(케인즈 등)나 영미문학 연구의 중심지로서 지대한 영향을 끼쳐 왔습니다.

 

케임브리지의 교수들은 대규모 강의뿐 아니라 앞서 언급한 수퍼비전(튜토리얼)을 통해 학부생 한두 명과 밀접하게 토론하며 가르치기 때문에, 학생들은 일대일로 세계적 석학의 지도를 받는 기회를 얻습니다. 예컨대 자연과학부에서는 세계 최고의 과학자들이 현재 최전선의 연구 주제를 가르치며, 학생들을 독자적인 젊은 연구자로 길러냅니다. 이러한 교육 철학 덕분에 케임브리지 학생들은 단순한 교과 지식 습득을 넘어, 스스로 새로운 아이디어를 탐구하고 연구를 추진하는 창의적 학문 역량을 키우게 됩니다.

 

연구 시설 측면에서도 케임브리지는 최고를 자랑합니다. 대학 부설 케임브리지 대학 도서관은 영국에서 두 번째로 큰 도서관으로 방대한 장서를 보유하고 있고, 각 학과 및 칼리지마다 전문 도서관과 연구소를 갖추고 있습니다. 캐번디시 연구소(물리학), MRC 분자생물학 연구소 등 세계적인 연구 기관들이 캠퍼스 내에 위치하여 학생들이 연구 현장에 쉽게 노출됩니다. 그 결과 케임브리지대학교는 매년 막대한 연구비 투자와 함께 혁신적인 논문 실적을 내고 있으며, Times Higher Education과 QS 세계대학순위 등의 연구력 지표에서 항상 세계 톱5 안에 선정되고 있습니다. 정리하면, 케임브리지의 교수진은 교육과 연구 양면에서 최고 수준이며, 학생들은 이끌어주는 스승이자 동시에 도전과 영감을 주는 연구자로부터 배우면서 성장하게 됩니다.

케임브리지대학교의 독특한 칼리지 시스템
케임브리지대학교의 독특한 칼리지 시스템


케임브리지대학교 전통과 학교 문화, 학생 생활

800년의 역사를 이어오는 동안 케임브리지대학교만의 독특한 전통과 학생 문화가 형성되어 왔습니다. 우선 학사 가운을 입는 전통이 있어, 공식 행사나 포멀 홀 만찬 시 학생들은 칼리지 문장 배지가 새겨진 검은 학위 가운을 착용합니다. 해리포터의 연회 장면처럼 긴 테이블에 앉아 식사를 하며, 양초 불빛 아래에서 교장선생 및 교수진도 함께 식사하는 광경은 케임브리지의 일상적인 전통입니다. 이 자리에서는 악동 같은 학생들의 장난으로 페니잉(Pennying)이라는 전통 게임이 펼쳐지기도 하는데, 누군가의 잔에 1펜스 동전을 던져 넣으면 그 사람은 잔을 원샷해야 하는 재미있는 규칙입니다. 이러한 소소한 전통까지 합쳐져 고풍스러운 분위기 속에서도 학생들은 유대를 쌓고 즐거운 추억을 만듭니다.

 

매 학년말 5~6월 시험이 끝나면 찾아오는 메이 위크는 케임브리지 학생 문화의 백미입니다. 시험으로 지친 학생들은 “Work hard, play hard”라는 모토 아래 일주일 동안 열리는 메이 볼 행사와 각종 파티에 열광합니다. 메이 볼은 각 칼리지에서 주최하는 초호화 연례 무도회로, 학생들은 턱시도와 드레스로 차려입고 밤새 음악 공연, 불꽃놀이, 댄스를 즐깁니다. 티켓 값이 수십만 원에 달할 정도로 화려한 행사이며, 새벽까지 남은 사람들은 서바이버스 브렉퍼스트라 불리는 아침 식사까지 이어서 즐긴다고 합니다. 이 외에도 메이 위크 기간에는 캠 강에서 열리는 보트 경주(May Bumps라는 칼리지 조정경기)나 학생들이 골판지로 만든 배를 타고 경주하는 카드보드 보트 레이스 같은 유쾌한 전통 이벤트들도 열립니다. 특히 케임브리지와 옥스퍼드 간의 전통적인 Boat Race(조정 대항전)은 매년 전 세계가 주목하는 스포츠 이벤트로, 학교 전체에 자부심을 불러일으키는 문화의 일부입니다.

 

학생 생활 면에서, 케임브리지는 다채로운 동아리와 스포츠 활동을 제공합니다. 학술 토론을 위한 케임브리지 유니언은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토론 클럽으로 유명 인사 초청 토론을 주최하고, 100여 개가 넘는 취미, 예술, 사회봉사 동아리가 존재하여 학생들은 학업 외 관심사를 활발히 추구합니다. 또한 각 칼리지 간에는 스포츠 리그가 열려 축구, 조정, 럭비 등의 경기가 정기적으로 개최되고, 인터-칼리지 경쟁이 학생들 사이에 친목과 열정을 더해줍니다. 생활 지원 측면에서도 각 칼리지에는 학생 상담교수와 선배 멘토 제도가 있어 신입생들이 대학 생활에 적응하도록 돕습니다. 예를 들어 칼리지 가족 제도를 통해 2,3학년 학생이 college 부모가 되어 신입생들을 이끌어주는 전통이 있으며, 이러한 끈끈한 유대 덕에 유학생이라도 가족적인 분위기 속에서 생활할 수 있습니다. 종합하면, 케임브리지의 학교 문화는 엄격한 학문적 분위기와 풍부한 전통 행사, 그리고 공동체적 학생 생활이 조화를 이루고 있어, 공부도 삶도 깊이 있게 즐길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합니다.


현대 물리학의 거장 스티븐 호킹박사
현대 물리학의 거장 스티븐 호킹박사

케임브리지대학교 유명 졸업생

케임브리지대학교는 역사적으로 수많은 유명인사와 지도자들을 배출한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과학 분야에서는 만유인력 법칙을 발견한 물리학자 아이작 뉴턴 경(Trinity 칼리지 졸업)을 비롯해, 진화론의 찰스 다윈(Christ’s 칼리지), 현대 물리학의 거장 스티븐 호킹(Trinity Hall 칼리지) 등이 모두 케임브리지 출신입니다. 특히 호킹 박사는 케임브리지에서 석좌교수직까지 역임하면서 연구를 이어갔고, 일반대중에게 과학을 알리는 저술 활동으로도 유명합니다. 인문학과 예술 분야 동문으로는 극작가 크리스토퍼 말로(16세기), 낭만파 시인 워즈워스, 소설가 이언 맥큐언 등이 있으며, 영화계에는 오스카상을 수상한 배우 엠마 톰슨이 케임브리지 영문학과를 졸업한 후 Footlights 코미디 극단 활동을 통해 연기 경력을 시작한 사례가 있습니다. 정치 지도자로는 인도 초대 수상 자와할랄 네루, 싱가포르 건국의 아버지 리콴유, 그리고 영국 왕실의 찰스 3세 국왕도 케임브리지 졸업생입니다. 그 밖에도 경제학자 존 메이너드 케인스(King’s 칼리지)나 현대 컴퓨팅의 선구자 앨런 튜링(King’s 칼리지) 등 여러 분야의 개척자들이 케임브리지에서 학업을 닦았습니다.

 

이처럼 케임브리지의 동문들은 각계 각층에서 세계에 큰 영향을 끼쳐왔으며, 현재도 매년 졸업생들이 학계, 산업계, 예술계, 공직 등 다양한 분야로 진출하여 혁신과 리더십을 발휘하고 있습니다. 학교 측에서도 이러한 동문 네트워크를 중요 자산으로 여겨, 재학생들에게 멘토링이나 강연 형태로 동문들과 교류할 기회를 제공합니다. 케임브리지에서 공부한다는 것은 곧 역사를 만든 위인들의 발자취를 따라가는 것이자, 미래에 그들처럼 될 수 있는 잠재력을 키우는 과정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케임브리지대학교 졸업 후 진로 및 전망

케임브리지대학교를 졸업한 학생들은 진로의 폭이 매우 넓으며 전망도 밝은 편입니다. 공식 통계에 따르면 케임브리지 졸업생의 약 89%가 졸업 15개월 이내에 취업 또는 대학원 진학 등 의미 있는 진로를 확보한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이는 영국 내에서도 최상위권에 해당하는 수치로, Complete University Guide 2025 기준 취업전망 부문 영국 Top 3에 케임브리지가 오를 만큼 졸업생들의 성공적인 진출이 두드러집니다. 특히 취업한 졸업생 중 91%는 전문직 및 고급 기술직에 종사하고 있어, 케임브리지 학위의 가치와 동문 네트워크의 힘을 보여줍니다.

 

구체적인 진로 경로를 살펴보면, 많은 졸업생들이 대학원에 진학하여 석박사 연구를 이어가거나, 연구소 및 학계에 남아 연구원∙교수의 길을 걷습니다. 케임브리지 명성에 걸맞게 옥스퍼드, 하버드, MIT 등 세계 유수 대학원으로의 진학률도 높습니다. 취업을 선택한 졸업생들은 글로벌 기업과 금융기관, 컨설팅 회사 등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이공계 졸업생들은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삼성전자 등의 기술기업이나 맥킨지, 골드만삭스 같은 컨설팅∙금융권에 입사하는 경우가 많고, 인문사회계 졸업생들은 유엔, 세계은행과 같은 국제기구나 정부 부처, 언론계로도 많이 진출합니다. 법학부 졸업생들은 영국 로스쿨(BPTC, LPC 등)이나 해외 로스쿨에 진학하거나, 바로 법률 펌에서 경력을 시작하기도 합니다. 의학 관련 전공의 경우 대부분 의대 임상과정이나 의학 박사과정으로 이어져 의료 현장에 투입됩니다.

 

케임브리지의 커리어 서비스도 학생들의 진로 설계를 적극 지원합니다. 재학 중부터 경력 상담, 이력서 코칭, 모의 인터뷰, 기업 설명회 등을 제공하고 매년 200회 이상의 취업 관련 이벤트와 15회 이상의 대형 취업 박람회를 개최하여 학생들을 돕습니다. 또한 Handshake라는 동문 네트워킹 플랫폼을 통해 전 세계의 케임브리지 동문들과 연결되어 멘토링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지원과 뛰어난 학업 역량을 바탕으로, 케임브리지 졸업생들은 졸업과 동시에 야심차고 지적인 인재로서 각 분야에서 선호됩니다.

요약하면, 케임브리지대학교 학부를 졸업한 후에는 대학원 진학을 통한 연구자 커리어, 글로벌 기업 및 금융권 취업, 공공기관 및 전문직 진출 등 선택지가 다양하며, 학교의 명성과 탄탄한 네트워크 덕분에 장기적 커리어 전망도 매우 밝습니다. 궁극적으로 케임브리지에서 쌓은 지식과 경험은 졸업생들이 국제 무대에서 활약하는 리더로 성장하는 데 든든한 밑거름이 됩니다.

 

(참고: 케임브리지대학교 공식 웹사이트, UCAS 가이드, Crimson Education 등 교육 매체, 및 영국 정부 통계. 자세한 사항은 케임브리지 대학 공식 사이트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